솔직히 말해서 석사과정 들어오기 전부터 마음에 드는 말이 있었다. 난 사실 이 말이 철학자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말인줄 알았다. (뭐 물론 수업에서 들은 말이지만, 이 말은 뉴턴이 한 말이더라.)
여기서, 인용. http://www.phrases.org.uk/meanings/268025.html
Origin
The best-known use of this phrase was by Isaac Newton in a letter to his rival Robert Hooke, in 1676: 아이작 뉴턴이 경쟁자인 로버트 후크에게 쓴 편지에서
“What Descartes did was a good step. You have added much several ways, and especially in taking the colours of thin plates into philosophical consideration. If I have seen a little further it is by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ton didn’t originate it though. The 12th century theologian and author John of Salisbury used a version of the phrase in a treatise on logic called Metalogicon, written in Latin in 1159. Translations of this difficult book are quite variable but the gist of what Salisbury said is:
“We are like dwarfs sitt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We see more, and things that are more distant, than they did, not because our sight is superior or because we are taller than they, but because they raise us up, and by their great stature add to ours.”
The phrase may even pre-date John of Salisbury, who was known to have adapted and refined the work of others.
솔즈베리가 한 말이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데카르트 그 위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 이르기까지의 르네상스 과학자들의 업적 위에 우뚝 선 뉴턴의 사고에 기반한 한 마디 였던 것으로 보인다. 지동설과 천동설이 대립하지 않았으면 또 르네상스에 많은 연구를 축적한 다 빈치가 없었더라면 뉴턴이라는 인물도 등장하기 어렵지 않았을까?
시대는 어떤 자양분을 가진 대지 위에서 이루어진다. 사실, 그렇다. 거인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바라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 여기에 대한 출전은 ‘과학혁명’에 대해서 배웠던 수업의 기억을 되살려서 좀 더 길게 써보도록 하겠다.
앞서 간 사람들이 얻은 이해를 사용하여 지적인 성취를 이룩하라. 이 메시지를 잊지 않으면 좋겠다.